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KIA 타이거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KIA 타이거즈는 1982년 창단된 대한민국 프로야구팀으로, 해태 타이거즈 시절을 포함하여 KBO 리그에서 12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김응용 감독 시절 9번의 우승을 기록하며 1980년대 한국 프로야구를 지배했으며, 선동열, 이종범 등 레전드 선수들을 배출했다. 2001년 기아자동차에 인수되어 KIA 타이거즈로 팀명을 변경했고, 2009년과 2017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범호가 감독으로 있으며,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설립된 야구팀 - 오렘 아울스
    오렘 아울스는 2001년 프로보 에인절스로 창단되어 유타주 오렘을 연고지로 파이오니어 야구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21년 콜로라도주 윈저로 이전하여 노던 콜로라도 아울스로 팀명을 변경한 마이너 리그 야구팀이다.
  • KIA 타이거즈 - 월명종합경기장 야구장
    월명종합경기장 야구장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하며 1989년에 개장하여 쌍방울 레이더스와 KIA 타이거즈의 제2 홈구장으로 사용되었고, 시설 개보수 후 프로야구 경기가 재개되었으나 현재는 프로야구 경기 유치가 어려운 상황이다.
  • KIA 타이거즈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KIA 타이거즈의 홈 구장인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는 광주 무등야구장을 대체하여 건설되었으며, 와인레드 좌석, 편의 시설, 홈런존 등을 갖춘 야구장이다.
  • 1982년 설립된 야구팀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창단되어 1982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야구팀으로,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KBO 리그에서 인기 있는 팀 중 하나이다.
  • 1982년 설립된 야구팀 - 삼성 라이온즈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 창단되어 8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했고, 현재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KIA 타이거즈
기본 정보
팀 이름기아 타이거즈
한국어 표기기아 타이거즈
영어 표기Kia Tigers
창단일1982년 1월 30일
연고지광주광역시
모기업기아
리그KBO 리그
이전 팀 이름해태 타이거즈 (1982–2001)
홈 구장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2014–현재)
기아 챌린저스 필드 (2012–현재)
이전 홈 구장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1982–2013)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1982–1989)
구단주송호성 (대표이사 사장)
대표이사최준영
감독이범호
단장심재학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팀 상징
기아 타이거즈 로고
팀 로고
기아 타이거즈 모자 로고
모자 로고
팀 색상빨간색
하얀색
검은색
마스코트호걸이, 호야, 호연이, 하랑이
기록
리그 우승1983년 (전기)
1988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9년
2017년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1983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9년
2017년
2024년
한국시리즈 진출12회 (우승 12회, 패배 0회)
플레이오프 진출6회 (승리 2회, 패배 4회)
준플레이오프 진출4회 (승리 0회, 패배 4회)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3회
영구 결번
영구 결번 선수7
18
기타 정보
관련 문서해태 타이거즈

2. 역사

해태 타이거즈는 OB 베어스와 MBC 청룡에 이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창단된 프로 야구단이었다. 1982년 1월 30일 14명의 선수로 창단되었으며, 초대 감독 김동엽은 한 달 만에 해임되었고, 조창수가 감독직을 이어받았다. 당시 선수 부족으로 많은 선수들이 투타를 겸업하였다. 김성한은 투수로 10승, 타자로는 69타점으로 리그 타점왕을 기록했다.

1983년, 해태는 김응룡을 감독으로 영입하며 전환점을 맞이했다. 김응룡 감독은 팀을 1983년 첫 우승으로 이끌었고, 이후 1997년까지 9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며 해태 타이거즈를 한국 프로야구 최강팀으로 만들었다. 특히, 이 기간 동안 한국시리즈에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는 대기록을 세웠다.

1984년 방수원삼미 슈퍼스타즈와의 경기에서 한국 야구 역사상 첫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1986년부터 1989년까지는 삼성 라이온즈를 한 번, 빙그레 이글스를 두 번 꺾고 한국시리즈 4연패를 달성했다.

1990년대에도 해태 타이거즈의 강세는 이어졌다. 1991년 한국시리즈 우승, 1993년에는 신인 이종범, 마무리 선동열, 선발 이대진과 이강철의 활약으로 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과 1997년에도 임창용, 강태원, 이종범, 이대진 등의 활약으로 8번째, 9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1998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해태는 2001년 기아에 팀을 매각해야 했다. 이종범주니치 드래건스로,[2] 임창용과 김응룡 감독은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다.

이종범이 일본에서 복귀했고,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신인 선수 홍세완, 포수 김상훈, 투수 김진우가 합류하여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지만,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에게 각각 패했다.

기아 타이거즈는 2005년 76패를 기록하며 최하위에 그쳤다. 유남호 감독이 경질되고 서정환 감독이 취임했지만, 2007년 전 메이저리그 선수 최희섭이 합류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최하위에 머물렀다.

2007년 6월 조범현이 새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2008년 전 메이저리그 투수 서재응이 팀에 합류했지만, 약한 타선, 불안한 수비, 불펜 문제로 인해 6위에 그쳤다.

2009년, 릭 구토르손, 아퀼리노 로페즈, 윤석민, 양현종으로 이루어진 강력한 선발진과 이종범의 리더십, 최희섭의 부활, 김상현의 활약으로 페넌트레이스 우승을 차지했다. 타이거즈는 2009 KBO 시즌과 2009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하며 1997년 이후 처음으로 정규시즌 1위와 한국시리즈 우승을 동시에 달성했다.[3] 나지완은 7차전 9회말 끝내기 홈런을 치며 시리즈 MVP에 선정되었다.

2011년 10월 18일, 선동열이순철이 타이거즈에 복귀했다. 선동열은 신임 감독으로, 이순철은 수석 코치로 선임되었다. 선동열 감독 체제에서 타이거즈는 2012년 5위, 2013년 8위에 그쳤다.

2014년, 타이거즈는 새 홈구장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로 이전했다. 선동열 감독은 2014년 시즌 후 팬들의 압력으로 사퇴했고, 김기태 감독이 새로 부임했다.

김기태 감독 체제에서 타이거즈는 2017년 정규시즌 우승과 2017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양현종이 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2019 시즌 직후, 타이거즈는 맷 윌리엄스를 첫 미국인 감독으로 선임했다.[4]

2. 1. 해태 타이거즈 시대 (1982년 ~ 2001년)

해태 타이거즈는 1982년 1월 30일, OB 베어스, MBC 청룡에 이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창단된 프로 야구단이다. 선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1983년 김응룡 감독 부임 후 MBC 청룡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에서 4승 1무의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15]

이후 이순철, 선동열, 김성한 등 스타 선수들을 영입하며 황금기를 맞이했다. 1984년 방수원삼미 슈퍼스타즈를 상대로 한국 야구 역사상 최초의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한 번, 빙그레 이글스를 상대로 두 번 승리하며 한국시리즈 4연패를 달성했다. 이는 한국 프로야구 최초의 기록이었다. 1990년 삼성 라이온즈에게 플레이오프에서 패했지만, 1991년 다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3년 신인 이종범, 마무리 선동열, 선발 이대진과 이강철의 활약으로 7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4년 이종범은 0.393의 높은 타율을 기록했지만, 팀은 한화 이글스에게 준플레이오프에서 패했다.

1996년 선동열주니치 드래건스로 이적했지만,[2] 임창용과 강태원이 그의 자리를 메우며 현대 유니콘스를 꺾고 8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이종범이대진이 복귀하여 LG 트윈스를 꺾고 9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1998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모기업 해태가 재정난을 겪으면서, 이종범주니치 드래건스로,[2] 임창용과 김응룡 감독은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하는 등 주축 선수들이 팀을 떠났다.

2. 2. KIA 타이거즈 시대 (2001년 ~ 현재)

2000년 김성한 감독을 마지막으로 시즌을 마친 해태 타이거즈쌍방울 레이더스 해체 후 9년 만에 전북 연고지 및 1차 지명권을 되찾아 호남 전지역을 아우르는 프로야구단으로 복귀하였다. 2001년 시즌 중 현대자동차그룹 산하의 기아자동차에 인수되어 이름을 KIA 타이거즈로 바꾸고 재창단하였다. 해태 타이거즈를 인수한 KIA는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2001년 6월 1일 웨이버 공시된 이종범을 다시 영입하는 등 공격적인 팀 운영을 하였다. 또한 신인급 홍세완포수 김상훈의 맹활약으로 2001년 시즌 5위를 기록하였다. 2002년에는 ‘제2의 선동열’이란 찬사를 받은 신인 김진우도 가세하여 정규 시즌을 2위로 마쳤으나, 플레이오프에서 LG 트윈스에 밀려 탈락하였다. 2003년에도 정규 시즌을 2위로 마쳤으나 또다시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였다. 2004년에는 4위로 시즌을 마감하여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김성한 감독이 총감독으로 오르고(사실상 해임) 유남호 감독 대행이 새 감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2005년 KIA 타이거즈는 팀 사상 최다패인 76패와 최저 승률인 0.392의 승률을 기록하여 창단 후 첫 8위(최하위)를 기록하였으며, 유남호 감독 역시 해임되고 서정환 감독 대행이 새 감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2006년 외국인 투수 세스 그레이싱어의 맹활약에 힘입어 4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한화 이글스에게 패배하게 된다.

이후 2007년 시즌에서 마운드의 붕괴와 장타력의 부재로 인하여 타격왕 타이틀을 차지한 이현곤의 활약과 최희섭의 복귀에도 불구하고 2005년에 이어 두 번째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이로 인하여 LG, 롯데와 번갈아 하위권에 머무른다고 하여 엘롯기(LG, 롯데, KIA) 동맹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15]

2007년 10월 18일 KIA 타이거즈는 서정환 감독을 해임하고 조범현 배터리 코치를 신임 감독으로 선임 및 메이저 리그 출신 투수 서재응 선수를 2007년 12월 17일 영입하며 시즌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2008년 시즌은 주축 선수들의 잇따른 부상과 부진으로 6위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2009년 시즌은 초반에 불안하게 시작되었으나, 릭 구톰슨, 아킬리노 로페즈, 윤석민, 양현종의 호투와 오랜 부진에서 벗어난 이종범장성호, 최희섭, 이용규 그리고 LG 트윈스에서 돌아온 김상현의 활약에 힘입어 후반기 시작과 함께 선두를 달렸고, 마침내 2009년 9월 24일 제2 홈구장 군산에서 열린 히어로즈와의 경기를 승리하면서 2009 프로야구 정규 시즌 1위를 확정, 12년 만에 2009년 한국시리즈에 직행하였다. 특히, 2009년 한국시리즈에서 KIA 타이거즈는 데뷔팀 SK 와이번스를 맞아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나지완의 끝내기 솔로홈런으로 4승 3패를 기록하여 12년만의 우승이자 기아자동차로 구단주가 바뀐 이후 최초, 팀 창단 이래 구단의 전신인 해태 타이거즈의 우승 기록을 포함하여 팀의 열번째 우승을 거머쥐었고 조범현 감독은 감독 생활 이후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0년 시즌에서는 주축 선수들의 줄부상과 부진 속에서 5위를 기록하였다.

2011년 시즌에는 일본에서 돌아온 이범호를 FA영입하고, 윤석민, 로페즈, 트레비스의 활약이 있었으나 주축 선수들의 잇따른 부상으로 후반기 4위로 시즌을 마치고, 특히 데뷔팀 SK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 1승 3패를 거둬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 그 해 10월 18일 KIA 타이거즈에서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에 따른 일부 극성 팬들의 과도한 사퇴 압박으로 인해 조범현 감독은 경질되었고 후임으로 선동열 감독이 KIA 타이거즈 감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이 해 투수 윤석민은 2011시즌에 다승(17승 5패 1세), 평균 자책점(2.45), 탈삼진(178개), 승률(0.773)의 4관왕을 차지하여 시즌 MVP를 거머쥐었다.

기아 타이거즈의 홈구장인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선동열 감독의 첫 시즌, 타이거즈는 2012년 실망스러운 5위에 그쳤다.

선동열은 타이거즈 감독으로 유임되었고, 매우 유망한 프리시즌 이후 한국시리즈 우승 후보 중 하나로 여겨졌다. 초반 시즌 페이스는 매우 뜨거웠고, 5월 초에는 리그 선두를 달렸다. 하지만 타이거즈는 2009년 MVP 김상현SK 와이번스에 보내고 우완투수 송은범을 영입하는 트레이드를 감행했다. 사실상 한 달 이상 남은 기간 동안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되었고, 128경기에서 51승을 거두며 9개 팀 중 8위에 그쳤다.

2014년 타이거즈는 수용 인원 2만 7천 명의 새 홈구장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로 이전했다. 선동열은 세 번째 시즌을 맞이했지만, 이순철은 팀을 떠났다. FA 이용규 (한화 이글스)와 윤석민 (볼티모어 오리올스)이 팀을 떠났지만, 타이거즈는 LG 트윈스의 중견수 이대형을 FA로 영입했다.

타이거즈는 128경기에서 0.422의 승률(54승 74패)을 기록하며 8위에 그쳤다.

타이거즈는 정규 시즌이 끝난 지 며칠 만에 선동열 감독과 연봉 3.8억과 계약금 3억의 2년 계약을 맺었다. 분노한 팬들은 구단 웹사이트를 압도하며 51세의 선동열 감독에게 계약을 파기할 것을 요구했다. 6일 후인 10월 25일, 선동열은 감독직에서 사퇴한다고 발표했다.

2014년 10월 28일, 구단은 광주 출신 김기태를 신임 감독으로 선임했으며, 3년 계약을 맺었다.

2017년 정규시즌 우승팀으로서 2017년 한국시리즈에 자동 진출했고, 플레이오프에서 NC 다이노스를 꺾은 두산 베어스와 맞붙었다. 기아는 7전 4선승제 시리즈에서 4승 1패로 우승을 차지했고, 양현종이 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2019 시즌 직후, 타이거즈는 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스타 맷 윌리엄스를 첫 미국인 감독으로 선임했다.[4]

3. 선수단

KIA 타이거즈의 선수단은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는 현재 선수단 명단이다.

등번호선수명읽기비고
1박찬호박찬호
3김선빈김선빈
5김도영김도영
6홍종표홍종표
9오정환오정환육성선수
11윤도현윤도현
12김두현김두현
14김규성김규성
23최정용최정용
29변우혁변우혁
37박민박민
52황대인황대인
56오선우오선우
58서건창서건창
59정해원정해원
01장시현장시현육성선수
05박상준박상준육성선수
010김재현김재현육성선수
011이준범이준범육성선수
038강민제강민제육성선수
미정패트릭 위즈덤신 외국인 선수
미정엄준형엄준형2025년 신인 드래프트 9라운드



위 표는 선수단의 전체 명단이며, 투수와 내야수는 하위 섹션에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3. 1. 코칭스태프

2014년 10월 28일 선동열 감독이 자진사퇴하고, 후임으로 김기태LG 감독이 KIA 타이거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계약 기간은 3년이었다. 조계현LG 트윈스 2군 감독이 수석코치로, 박흥식롯데 자이언츠 1군 타격코치가 1군 타격코치로, 김민호LG 트윈스 1군 외야수비/주루코치가 1군 수비코치로 각각 영입되었다.[1] 2019년 5월 16일 김기태 감독은 성적 부진으로 자진사퇴했고,[2] 다음 날인 5월 17일 박흥식 전 2군 감독이 감독대행으로 선임되었다.[2]

3. 2. 투수

등번호선수명읽기비고
1박찬호박찬호
11윤도현윤도현
12김두현김두현
01장시현장시현육성선수
05박상준박상준육성선수
038강민제강민제육성선수
미정엄준형엄준형2025년 신인 드래프트 9라운드


3. 3. 포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KIA 타이거즈의 포수 명단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4. 내야수

선수명비고
박찬호
김선빈
김도영
홍종표
오정환육성선수
윤도현
김두현
김규성
최정용
변우혁
박민
황대인
오선우
서건창
정해원
장시현육성선수
박상준육성선수
김재현육성선수
이준범육성선수
강민제육성선수
패트릭 위즈덤신 외국인 선수
엄준형2025년 신인 드래프트 9라운드


3. 5. 외야수


4. 역대 감독

순서이름재임 기간시즌 수경기수승률최고 성적주석 및 기타
1대김동엽1982.01.05 - 1982.04.281135080.385중도 퇴진
감독 대행조창수1982.04.29 - 1982.10.17140180220.450
2대김응용1982.10.18 - 2000.10.301821451145509501983, 86~89, 91, 93, 96, 97년 한국시리즈 우승(9회)
3대김성한2000.10.30 - 2004.07.26428318236KIA로 모기업 매각
4대유남호2004.07.27 - 2005.07.25258167감독 대행(2004.07.27~2004.10.12)
5대서정환2005.07.26 ~ 2007.10.1831066143감독 대행(2005.07.26~2005.10.02)
6대조범현2007. 10.18~ 2011. 10.18452528182472009년 정규시즌 1위, 한국시리즈 우승 (V10)
7대선동열2011. 10.18 ~ 2014. 10.263
8대김기태2014. 10.28 ~ 2019. 05.1652017년 정규시즌 1위, 한국시리즈 우승 (V11)
감독 대행박흥식2019. 05.17 ~ 2019. 10.151
9대맷 윌리엄스2019.10.15~ 2021.11.022구단 역사상 첫번째 외국인 감독
10대김종국2021.12.05~ 2024.1.293배임 수재 논란으로 불명예 퇴임
11대이범호2024.1.30~2024년 정규시즌 1위, 한국시리즈 출전



초대 감독인 김동엽 감독은 구단과의 갈등 및 성적 부진으로 한 달 만에 경질되었고, 조창수 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아 1982년 시즌을 마무리했다.

1983년, 해태 타이거즈는 김응용 감독을 영입하며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김응용 감독은 1983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1986년부터 1989년까지 4년 연속 우승,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우승 등 총 9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며 해태 왕조를 구축했다. 김응용 감독 시절 해태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한국 프로야구를 지배했다.

2001년, 기아자동차에 인수된 후에도 KIA 타이거즈는 조범현 감독 시절인 2009년에 정규 시즌과 한국시리즈를 제패하며 통산 10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017년에는 김기태 감독의 지휘 아래 정규 시즌 1위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통산 11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2021년 12월 5일, 김종국이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2024년 1월 29일 배임 수재 혐의로 인해 불명예 퇴임하였다.[4]

5. 역대 선수

2011년 선동열삼성 감독이 KIA 타이거즈의 지휘봉을 잡았고, 이순철LG 트윈스 감독이 수석코치로 합류하는 등 해태 타이거즈 출신 지도자들이 복귀했다.[13] 그러나 2012년 5위에 그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롯데 자이언츠에서 김주찬을 FA로 영입했으나, 김주찬의 부상과 SK 와이번스와의 트레이드 실패 등으로 2013년 시즌은 8위로 마감했다. 이순철 수석코치는 사임하고 한대화가 수석코치가 되었다.

2014년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로 홈구장을 옮겼으나 8위에 그쳤다.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에도 선동열 감독은 재계약했지만, 팬들의 반발과 안치홍경찰청 입대 관련 논란으로 사퇴했다.[13]

현재 KIA 타이거즈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등번호선수명비고
내야수1박찬호
내야수3김선빈
내야수5김도영
내야수6홍종표
내야수9오정환육성선수
내야수11윤도현
내야수12김두현
내야수14김규성
내야수23최정용
내야수29변우혁
내야수37박민
내야수52황대인
내야수56오선우
내야수58서건창
내야수59정해원
내야수01장시현육성선수
내야수05박상준육성선수
내야수010김재현육성선수
내야수011이준범육성선수
내야수038강민제육성선수
외야수미정패트릭 위즈덤신 외국인 선수
투수미정엄준형2025년 신인 드래프트 9라운드


5. 1. 한국인 선수 및 코칭스태프

선수/코치 이름포지션주요 경력비고
김응용감독1983년~2000년 해태 감독, 한국시리즈 9회 우승한국 프로야구 최다승 감독, 2002년 삼성 라이온즈 우승
김성한선수, 코치, 감독1982년~1995년 선수, 1996년~2004년 코치/감독한국 프로야구 최초 10승-10홈런, 3회 홈런왕, 2회 타점왕
선동열선수, 감독1985년~1995년 해태 선수, 2011년~2014년 KIA 감독전 중일 드래곤즈 선수
이종범선수1993년~1997년, 2001년~2012년 해태/KIA 선수전 중일 드래곤즈 선수, "바람의 아들"
이순철선수, 코치1985년~1997년 선수, 2012년~2014년 KIA 수석코치1985년 신인왕, 3회 도루왕
이강철선수1989년~1998년, 2001년~2005년 선수10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 현 KT 위즈 감독
조계현선수1989년~1997년 선수2회 최다승, 1995년 최우수 방어율, "투계", "LG 킬러"
한대화선수1986년~1993년 선수강타의 3루수
이대진선수1993년~2011년 선수1990년대 후반 해태 에이스, 2009년 100승 달성
김종국선수, 감독1996년~2010년 선수, 2021년~2024년 감독이종범과 키스톤 콤비
장성호선수1996년~2010년 선수2002년 타격왕
최희섭선수2007년~2015년 선수전 메이저리거
서재응선수2008년~2015년 선수전 메이저리거
김상현선수2009년~2013년 선수2009년 홈런, 타점 2관왕, 시즌 MVP
이용규선수2005년~2013년 선수俊足好打의 주전 외야수
윤석민선수2005년~2013년, 2015년~2019년 선수2011년 투수 4관왕, 시즌 MVP
안치홍선수2009년~2014년, 2016년~2019년 선수주전 2루수, 2009년 우승 기여
이범호선수, 감독2011년~2019년 선수, 2024년~ 감독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선수
김주찬선수2013년~2020년 선수2016년 구단 최초 사이클링 히트
임창용선수1995년~1998년, 2016년~2018년 선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선수
박찬호선수현재내야수
김선빈선수현재내야수
김도영선수현재내야수
최형우선수현재외야수
나성범선수현재외야수
이호성선수1990년~2001년 선수2008년 사망


5. 2. 외국인 선수

다음은 해태 타이거즈와 KIA 타이거즈에서 활약했던 외국인 선수들이다.

; 호세 마라베(2000년 재직)

: 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 알키메데스 포조(2000년 재직)

: 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게리 라스(2001년 재직)

: 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루이스 산토스(2001년 재직)

: 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 루디 펜버튼(2002년 재직)

: 전 세이부 라이온스

; 마크 키퍼(2002년 ~ 2003년 재직)

; 다니엘 리오스(2002년 ~ 2005년 재직)

: 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마이크 존슨(2003년, 2005년 재직)

: 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시드니 올림픽, 베이징 올림픽에서 캐나다 대표로 출전. 2009년 시즌 SK 와이번스와 계약하여 한국 야구계에 복귀.

; 세스 그라이싱어(2005년 ~ 2006년 재직)

: 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지바 롯데 마린스. 2006년 선발로 29경기에 등판, 14승 12패, 평균자책점 3.02, 164탈삼진. 기아 재직 시 등록명은 “그레이싱어(그레이싱어한국어)”.

; 마이크 서베나크(2006년 재직)

; 스콧 시볼(2006년 재직)

: 전 히로시마 도요 카프

; 펠릭스 로드리게스(2007년 재직)

: 2006년까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필라델피아 필리스, 뉴욕 양키스 등에서 셋업맨으로 활약.

; 래리 서튼(2007년 재직)

: 현 롯데 자이언츠 감독

; 윌슨 발데스(2008년 재직)

: 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기아 등록명 "발데스".

; 호세 리마(2008년 재직)

: 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캔자스시티 로열스, 뉴욕 메츠 등. 2010년 5월 사망.

; 펠릭스 디아스(2008년 재직)

: 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릭 가토옴슨(2009년 재직)

: 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아킬리노 로페스(2009년 ~ 2011년 재직)

; 트래비스 블랙리(2011년 재직)

: 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앤서니 레루(2012년 ~ 2013년 재직)

: 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호라시오 라미레스(2012년 재직)

; 헨리 소사(2012년 ~ 2013년 재직)

; 듀안 비로우(2013년 재직)

: 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데니스 홀턴(2014년 재직)

: 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이로 아센시오(2014년 재직)

; 저스틴 토마스(2014년 재직)

: 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필립 험버(2015년 재직)

; 조쉬 스틴슨(2015년 재직)

; 에반 미크(2015년 재직)

; 브렛 필(2014년 ~ 2016년 재직)

; 지크 스프라일(2016년 재직)

; 로저 버나디나(2017년 ~ 2018년 재직)

; 헥터 노에시(2016년 ~ 2018년 재직)

; 제러미 헤이젤베이커(2019년 재직)

; 프레스턴 터커(2019년 ~ 2021년 재직)

; 제이콥 터너(2019년 재직)

; 조 위랜드(2019년 재직)

: 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드류 개그넌(2020년 재직)

; 애런 브룩스(2020년 ~ 2021년 재직)

; 보 타카하시(2021년 재직)

: 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다니엘 멘덴(2021년 재직)

; 션 놀린(2022년 재직)

: 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 아도니스 메디나(2023년 재직)

; 션 앤더슨(2023년 재직)

; 토마스 파노(2022년, 2023년 재직)

; 윌 크로우(2024년 재직)

; 에릭 라우어(2024년 재직)

; 소크라테스 브리토(2022년 ~ 2024년 재직)

5. 3. 재일교포 및 외국인 코치

KIA 타이거즈는 다양한 재일교포 및 외국인 코치들을 영입하여 팀의 발전에 기여해 왔다.

  • 재일교포 코치


재직 기간성명선수 경력
2002년 ~ 2003년주동식(宇田東植)일본햄 파이터스, 한신 타이거스
2003년 ~ 2005년이케우치 유타카(池内豊)난카이 호크스, 한신 타이거스,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한큐 브레이브스
2005년 ~ 2007년야마시타 치하루(山下千春)오릭스 블루웨이브,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트레이닝 코치)
2008년 ~ 2009년칸베 토시오(神部年男)긴테쓰 버펄로스, 야쿠르트 스왈로스
2010년스기모토 타다시(杉本正)세이부 라이온즈, 주니치 드래곤즈, 후쿠오카 다이에이 호크스
2011년히라노 켄(平野謙)주니치 드래곤즈, 세이부 라이온즈, 지바 롯데 마린스
2011년다카하시 마사히로(高橋雅裕)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지바 롯데 마린스
2012년다카하시 미치타케(高橋三千丈)주니치 드래곤즈
2012년마쓰야마 히데아키(松山秀明)오릭스 블루웨이브
2012년미나미야니 카즈키(南谷和樹)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컨디셔닝 코치)
2013년 ~ 2014년하나마스 코우지(花増幸二)일본햄 파이터스
2014년김 실(田中実)일본햄 파이터스
2014년하세베 유타카(長谷部裕)주니치 드래곤즈
2017년 ~ 2019년마사다 코우조(正田耕三)히로시마 도요 카프


  • 외국인 코치


재직 기간성명경력
2000년호세 마라베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00년알키메데스 포조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01년게리 라스요미우리 자이언츠,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1년루이스 산토스요미우리 자이언츠
2002년루디 펜버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02년 ~ 2003년마크 키퍼
2002년 ~ 2005년다니엘 리오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03년, 2005년마이크 존슨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시드니 올림픽, 베이징 올림픽 캐나다 대표, 2009년 SK 와이번스
2005년 ~ 2006년세스 그라이싱어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지바 롯데 마린스. KIA 등록명: "그레이싱어(그레이싱어한국어)"
2006년마이크 서베나크
2006년스콧 시볼히로시마 도요 카프
2007년펠릭스 로드리게스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필라델피아 필리스, 뉴욕 양키스 셋업맨
2007년래리 서튼롯데 자이언츠 감독
2008년윌슨 발데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KIA 등록명: "발데스"
2008년호세 리마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캔자스시티 로열스, 뉴욕 메츠. 2010년 5월 사망.
2008년펠릭스 디아스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9년릭 가토옴슨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9년 ~ 2011년아킬리노 로페스
2011년트래비스 블랙리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2년 ~ 2013년, 2019년 ~ 2021년앤서니 레루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2년호라시오 라미레스
2012년 ~ 2013년헨리 소사
2013년듀안 비로우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4년데니스 홀턴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4년하이로 아센시오
2014년저스틴 토마스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15년필립 험버
2015년조쉬 스틴슨
2015년에반 미크
2014년 ~ 2016년브렛 필
2016년지크 스프라일
2017년 ~ 2018년로저 버나디나
2016년 ~ 2018년헥터 노에시
2019년제러미 헤이젤베이커
2019년 ~ 2021년프레스턴 터커
2019년제이콥 터너
2019년조 위랜드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20년드류 개그넌
2020년 ~ 2021년애런 브룩스
2021년보 타카하시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1년다니엘 멘덴
2022년션 놀린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23년아도니스 메디나
2023년션 앤더슨
2022년, 2023년토마스 파노
2024년윌 크로우
2024년에릭 라우어
2022년 ~ 2024년소크라테스 브리토


6. 정규 시즌


  • 1983년부터 1997년까지 김응용 감독 시절, 해태 타이거즈는 9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KBO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군림했다.
  • 2001년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기아자동차에 인수된 후, 팀명을 KIA 타이거즈로 변경하고 재창단했다.
  • 2009년 조범현 감독의 지휘 아래, KIA 타이거즈는 정규 시즌 1위와 한국시리즈 우승을 동시에 달성하는 '더블 우승'을 기록했다.[3]
  • 2017년 김기태 감독 체제에서 KIA 타이거즈는 8년 만에 정규 시즌 우승과 통산 11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 2024년 이범호 감독 체제에서 KIA 타이거즈는 7년 만에 정규 시즌 우승과 통산 12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7. 통산 기록

연도팀명최종순위승률포스트 시즌수상 선수감독
1982해태4위380420.475김동엽, 조창수(감독대행)
19831위551440.556한국시리즈 : MBC 전 4-0 승김응용
19845위433540.443
19853위571520.523이순철 (신), 김성한 (최)
19861위674370.644한국시리즈 : 삼성 전 4-1 승선동열 (최)
19871위555480.532한국시리즈 : 삼성 전 4-0 승
19881위682380.639한국시리즈 : 빙그레 전 4-2 승김성한 (최)
19891위654510.558한국시리즈 : 빙그레 전 4-1 승선동열 (최)
19903위683490.579플레이오프 : 삼성 전 0-3 패선동열 (최)
19911위795420.647한국시리즈 : 빙그레 전 4-0 승
19923위711540.567플레이오프 : 롯데 전 2-3 패
19931위813420.655한국시리즈 : 삼성 전 4-2 승
19944위652590.524플레이오프 : 한화 전 0-3 패이종범 (최)
19954위644580.524
19961위732510.587한국시리즈 : 현대 전 4-2 승
19971위751500.599한국시리즈 : LG 전 4-1 승
19985위611640.488
1999드림리그 4위(전체 7위)603690.465
2000드림리그 4위(전체 6위)574720.442
2001KIA5위605680.469김성한
20023위784510.605플레이오프 : LG 전 2-3 패
20033위785500.609플레이오프 : SK 전 0-3 패
20044위675610.523준플레이오프 : 두산 전 0-2 패
20058위491760.392유남호
20064위643590.520준플레이오프 : 한화 전 1-2 패서정환
20078위511740.408
20086위570690.452조범현
20091위814480.609한국시리즈 : SK 전 4-3 승김상현 (최)
20105위590740.444
20114위700630.526준플레이오프 : SK 전 1-3 패윤석민 (최)
20125위626650.488선동열
20138위513740.408
20148위540740.422
20157위670770.465김기태
20165위701730.490와일드카드 결정전 : LG 전 1-1 패
20171위871560.608한국시리즈 : 두산 전 4-1 승양현종 (최)
20185위700740.486와일드카드 결정전 : 넥센 전 0-1 패
20197위622800.437김기태, 박흥식(감독대행)
20206위730710.507맷 윌리엄스
20219위5810760.433
20225위701730.490와일드카드 결정전 : KT 전 0-1 패김종국
20236위732690.514
20241위872550.613한국시리즈 : 삼성 전 4-1 승김선빈 (최)이범호
KIA 타이거즈 43시즌280010525860.520한국시리즈 우승 12회



KIA 타이거즈는 1982년 창단 이후 2024년까지 총 43시즌을 치렀다. 한국시리즈에서는 1983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9년, 2017년, 2024년 총 12번 우승했다. 정규 시즌 최고 승률은 1993년의 0.655이며, 최다승은 2017년과 2024년의 87승이다.

'''포스트시즌 진출 기록'''


  • 한국시리즈: 총 12회 진출, 12회 우승
  • 플레이오프: 6회 진출 (1987, 1989, 1990, 1992, 2002, 2003)
  • 준플레이오프: 3회 진출 (2004, 2006, 2011)
  • 와일드카드 결정전: 3회 진출 (2016, 2018, 2022)

7. 1. 역대 시즌별 최종 순위 및 포스트시즌 결과

이순철 (신인상)3위/6팀5528261.5191986KBO1위/7팀2위/7팀5434182.654.259992.86우승 한국시리즈 vs. 삼성 라이온즈 (4–1)선동열 (MVP)2위/7팀5433192.6351987KBO1위/7팀3위/7팀5427252.519.252713.16우승 준플레이오프 vs. OB 베어스 (3–2)
우승 한국시리즈 vs. 삼성 라이온즈 (4–0)rowspan="2"|2위/7팀5428233.5491988KBO1위/7팀1위/7팀5434191.639.2831122.86우승 한국시리즈 vs. 빙그레 이글스 (4–2)김성한 (MVP)1위/7팀5434191.6391989KBO1위/7팀2위/7팀12065514.558.255903.34우승 준플레이오프 vs. 태평양 돌핀스 (3–0)
우승 한국시리즈 vs. 빙그레 이글스 (4–1)선동열 (MVP)1990KBO3위/7팀2위/7팀12068493.579.270873.36패배 플레이오프 vs. 삼성 라이온즈 (0–3)선동열 (MVP)1991KBO1위/8팀1위/8팀12679425.647.2591442.89우승 한국시리즈 vs. 빙그레 이글스 (4–0)1992KBO3위/8팀2위/8팀12671541.567.2721384.21패배 플레이오프 vs. 롯데 자이언츠 (2–3)1993KBO1위/8팀1위/8팀12681423.659.251952.92우승 한국시리즈 vs. 삼성 라이온즈 (4–1–2)1994KBO4위/8팀4위/8팀12665592.524.271933.60패배 준플레이오프 vs. 한화 이글스 (0–2)이종범 (MVP)1995KBO4위/8팀4위/8팀12664584.524.242753.061996KBO1위/8팀1위/8팀12673512.587.245923.14우승 한국시리즈 vs. 현대 유니콘스 (4–2)1997KBO1위/8팀1위/8팀12675501.599.2581333.65우승 한국시리즈 vs. LG 트윈스 (4–1)1998KBO5위/8팀5위/8팀12661641.488.258943.91 1999드림리그8위/8팀4위/4팀13260693.465.2782105.212000드림리그6위/8팀4위/4팀13357724.442.252864.95 2001KBO5위/8팀5위/8팀13360685.469.2781425.01KIA 타이거즈2002광주 무등 야구장KBO3위/8팀2위/8팀13378514.605.2691203.92패배 플레이오프 vs. LG 트윈스 (2–3)2003KBO3위/8팀2위/8팀13378505.609.2721293.62패배 플레이오프 vs. SK 와이번스 (0–3)2004KBO4위/8팀4위/8팀13367615.523.2671434.51패배 준플레이오프 vs. 두산 베어스 (0–2)2005KBO8위/8팀8위/8팀12649761.392.260994.812006KBO4위/8팀4위/8팀12664593.520.255623.33패배 준플레이오프 vs. 한화 이글스 (1–2)2007KBO8위/8팀8위/8팀12651741.408.257734.49 2008KBO6위/8팀6위/8팀12657690.452.260484.082009KBO1위/8팀1위/8팀13381484.609.2671563.92우승 한국시리즈 vs. SK 와이번스 (4–3)김상현 (MVP)2010KBO5위/8팀5위/8팀13359740.444.2601064.392011KBO4위/8팀4위/8팀13370630.526.2691064.10패배 준플레이오프 vs. SK 와이번스 (1–3)윤석민 (MVP)2012KBO5위/8팀5위/8팀13362656.488.256543.90 2013KBO9위/9팀9위/9팀12851743.408.261885.12 2014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KBO9위/9팀9위/9팀12854740.422.2881215.82 2015KBO10위/10팀10위/10팀14467770.465.2511364.792016KBO5위/10팀5위/10팀14470731.490.2861704.97패배 와일드카드 결정전 vs. LG 트윈스 (1–1) 2017KBO1위/10팀1위/10팀14487561.608.3021704.79우승 한국시리즈 vs. 두산 베어스 (4–1)양현종 (MVP)2018KBO5위/10팀5위/10팀14470740.486.2951705.40패배 와일드카드 결정전 vs. 넥센 히어로즈 (0–1) 2019KBO7위/10팀7위/10팀14462802.437.264764.65 2020KBO6위/10팀6위/10팀14473710.507.2741305.13 2021KBO10위/10팀10위/10팀144587610.433.248664.89이의리 (신인상)2022KBO5위/10팀5위/10팀14470731.490.2721134.20패배 와일드카드 결정전 vs. KT 위즈 (0–1) 2023KBO6위/10팀6위/10팀14473692.514.2761014.13 2024KBO1위/10팀1위/10팀14487552.613.3011634.40우승 한국시리즈 vs. 삼성 라이온즈 (4–1)김도영 (MVP)


8. 한국시리즈

KIA 타이거즈는 1983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9년, 2017년, 2024년까지 총 12번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다. 해태 타이거즈 시절 9번, KIA 타이거즈로 바뀐 후 3번 우승을 차지했다.

1983년 첫 우승 당시 감독은 김응용이었으며, MBC 청룡을 상대로 4승 1무를 기록하며 우승했다. 이후 1986년부터 1989년까지 4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는데, 이는 KBO 역사상 최초의 기록이다.[15] 1990년대에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에 우승을 추가하며 압도적인 전력을 과시했다.

2000년대 들어 해태에서 기아로 모기업이 변경된 후, 2009년에 조범현 감독의 지휘 아래 SK 와이번스를 꺾고 10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에는 김기태 감독과 함께 두산 베어스를 꺾고 11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024년에는 이범호 감독과 함께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12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연도감독상대 팀 (감독)경기 결과우승 횟수시리즈 MVP주석 및 기타
11983년김응용MBC 청룡 (김동엽)4승 1무 (OOO△O)V1김봉연 (내야수)
21986년김응용삼성 라이온즈 (김영덕)4승 1패 (OXOOO)V2김정수 (투수)
31987년김응용삼성 라이온즈 (박영길)4승 (OOOO)V3김준환 (외야수)
41988년김응용빙그레 이글스 (김영덕)4승 2패 (OOOXXO)V4문희수 (투수)
51989년김응용빙그레 이글스 (김영덕)4승 1패 (XOOOO)V5박철우 (내야수)
61991년김응용빙그레 이글스 (김영덕)4승 (OOOO)V6장채근 (포수)
71993년김응용삼성 라이온즈 (우용득)4승 1무 2패 (OX△XOOO)V7이종범 (내야수)
81996년김응용현대 유니콘스 (김재박)4승 2패 (OXOXOO)V8이강철 (투수)
91997년김응용LG 트윈스 (천보성)4승 1패 (OXOOO)V9이종범 (내야수)
102009년조범현SK 와이번스 (김성근)4승 3패 (OOXXOXO)V10나지완 (외야수)KIA로 첫 우승
112017년김기태두산 베어스 (김태형)4승 1패 (XOOOO)V11양현종 (투수)
122024년이범호삼성 라이온즈 (박진만)4승 1패 (OOXOO)V12김선빈 (내야수)
한국시리즈 총 12회 우승 (해태 9회 / KIA 3회)


9. 한국 프로 야구상 수상자

연도선수포지션비고
1985년김성한내야수
1986년선동열투수
1988년김성한내야수
1989년선동열투수
1990년선동열투수
1994년이종범내야수
2009년김상현내야수트레이드 선수 최초 MVP
2011년윤석민투수투수 4관왕 (다승, 평균자책점, 탈삼진, 승률)
1989~91년 선동열 이후 선발투수 4관왕, 2006년 류현진 이후 5년 만의 투수 트리플 크라운
2017년양현종투수
2024년김도영내야수

[15]

10. 1차 지명 지역 연고

KIA 타이거즈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를 연고지로 하며, 해당 지역의 고등학교들로부터 1차 지명을 받는다.

11. 역대 2차 드래프트 지명

(두산 베어스, 내야수)이경록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백세웅
(롯데 자이언츠, 내야수)2014김태영
(두산 베어스, 투수)김민우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김준
(SSG 랜더스, 투수)2016배힘찬
(키움 히어로즈, 투수)윤정우
(LG 트윈스, 외야수)이윤학
(kt 위즈, 투수)2018최정용
(SSG 랜더스, 내야수)황윤호
(NC 다이노스, 내야수)유민상
(kt 위즈, 내야수)2020변시원
(두산 베어스, 투수)없음없음2024없음이형범
(두산 베어스, 투수)고명성
(kt 위즈, 투수)


12. 기록

KIA 타이거즈는 선수 개인과 팀 모두 다양한 기록을 세웠다.

'''개인 기록'''

선수기록달성일/시기비고
김성한투타 겸업 10승-타점 1위1982년10승 5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2.88, 69타점, 타율 0.305, 13홈런
김성한프로 야구 세 번째 100홈런1988년 6월 26일이만수, 김봉연에 이어
프로 야구 두 번째 400타점1988년 8월 21일이만수에 이어
프로 야구 최초 시즌 30홈런1988년
프로 야구 최초 20-20 클럽 가입1989년 9월 17일26홈런, 32도루
프로 야구 최초 500득점1990년 6월 5일
프로 야구 최초 600득점, 1,000안타, 두 번째 600타점1991년600타점(5월 23일, 이만수에 이어), 600득점(7월 14일), 1,000안타(4월 19일)
프로 야구 최초 2,000루타, 1,200안타, 700득점, 1,300안타, 두 번째 200홈런1992년, 1993년2,000루타(1992년 8월 20일), 1,200안타(1992년 8월 23일), 700득점(1993년 5월 26일), 1,300안타(1993년 8월 19일), 200홈런(이만수에 이어)
이상윤팀 역사상 최초 20승1983년 9월 12일
김봉연프로 야구 두 번째 100홈런1987년 5월이만수에 이어
방수원한국프로야구 최초 노히트 노런1984년 5월 5일삼미
김준환, 백인호, 박철우프로 최초 3타자 연속홈런1989년 6월 1일
선동열최초 및 최다 0점대 평균자책점1986년, 1987년, 1993년
최다 선발승+정규시즌 MVP1986년17선발승, 1982년 박철순(16선발승)[16] 이후 4년 만
4년 연속 탈삼진 1위1988년~1991년
6년 연속 평균자책점 1위1986년~1991년
3년 연속 최다승 1위1989년~1991년
프로야구 최초 30세이브, 최다 연속 무실점이닝, 500이닝 이상 역대 통산 기록1993년(30세이브), 1986년, 1987년(무실점)30세이브(방어율 0.78, 10승 3패 31세이브), 무실점이닝(49⅓이닝(1위), 46⅓이닝(2위, 1995년)), 통산 기록(최저 평균자책점(1.20), 최저 WHIP(0.80), 최다승 4위(146승, 1,647이닝), 1000이닝 이상 투수 중 최소패 1위(40패), 최소 피홈런 1위(28개), 최소 자책점 1위(220점))
이강철10년 연속 10승 이상1989년~1998년역대 유일, 5차례 15승 이상
단일 팀에서만 100선발승1997년 9월 12일역대 KBO 2번째, 잠수함 투수 1호, 롯데
통산 114선발승역대 잠수함 투수 중 유일하게 100선발승 이상 돌파
이종범단일 경기 최다 도루(6개)1993년
국내 출신 선수 최고 타율(0.393), 단일 시즌 최다 도루(84개)1994년
30(홈런)-60(도루) 클럽 가입, 프로 야구 최초 3할-30홈런-30도루1997년
유격수 OPS 1.0 돌파1994년, 1997년역대 유일무이 2차례
최소 경기 1,000득점, 500도루, 200도루, 300도루, 400도루2009년(1,000득점, 500도루)1,000득점(역대 4번째), 500도루(역대 2번째, 참조- 전준호(1,705경기)), 최소 경기(1,439경기)
한일 통산 200홈런 500도루, 2000안타, 더블헤더 선두타자 연속홈런1993년 7월 15일(연속홈런)221홈런- 563도루(역대 첫 번째, 연속홈런)
김상진한국시리즈 최연소 완투승1997년 10월 25일20세 6개월, 한국시리즈 5차전
이대진10타자 연속 삼진1998년 5월 12일현대
김상훈단일시즌 최고 도루 저지율(0.554)2003년
홍세완국내 유격수 최초 세 자릿수 타점(100타점)2003년
한기주KBO 리그 사상 최다 계약금2006년10억
손지환한국 프로야구 최초 무보살 트리플 플레이2007년
최희섭2타점 희생플라이2007년
김상현한 시즌 최다 만루 홈런 타이기록(4개)2009년
역대 월간 최다 홈런 및 타점 타이기록2009년 8월15개 홈런(이승엽 1999년 5월, 2003년 5월), 38타점(장종훈 1991년)
안치홍한국시리즈 최연소 홈런2009년 10월 24일19세 3개월 22일, 한국시리즈 7차전
올스타전 최연소 홈런 및 최연소 미스터 올스타19세 23일
이용규한 이닝 최다 타점(7점), 한 경기 최다 타점 타이기록(8점)2010년 7월 29일사직 롯데 자이언츠
한 타자 상대 최다 투구(20개)2010년 8월 29일넥센 히어로즈 전, 상대투수 : 박준수
윤석민KBO 역대 두 번째 투수 4관왕2011년선동열- 2번 달성, 주요 부문 3관왕은 역대 세 번째(다승, 탈삼진, 평균자책점)
서재응KBO 역대 최다 선발 무실점 이닝2012년44이닝, 이전 기록 선동열(37이닝·1986년~1987년)
최희섭KBO 역대 최고령 통산 100호 홈런2015년 5월 21일36세 2개월 5일, 롯데 자이언츠
나지완KBO 통산 100사구2016년 6월 11일역대 22번째, 삼성 라이온즈
이범호KBO 통산 만루 홈런 신기록(13개), 250홈런(역대 13번째)2015년 10월 3일두산 베어스전, 상대투수 : 유희관
KBO 통산 1,400안타, 2,500루타, 300번째 2루타, 800득점, 900타점2016년1,400안타(5월 1일, 두산 베어스전, 역대 32번째), 2,500루타(5월 11일, KT 위즈전, 역대 41번째), 300번째 2루타(5월 27일, NC 다이노스전, 역대 19번째), 800득점(5월 27일, 롯데 자이언츠전, 역대 26번째), 900타점(5월 27일, 롯데 자이언츠전, 역대 19번째)
최향남한국프로야구 최고령 세이브2012년 7월 25일41세 3개월 27일, 넥센 히어로즈
김주찬KBO 통산 1300경기 출장, 50번째 3루타, 250번째 2루타, 2,000루타, 1,400안타2016년1300경기 출장(4월 2일, NC 다이노스전, 역대 55번째), 50번째 3루타(4월 18일, 넥센 히어로스전, 역대 1번째), 250번째 2루타(4월 18일, 넥센 히어로스전, 역대 29번째), 2,000루타(5월 29일, NC 다이노스전, 역대 41번째), 1,400안타(6월 16일, 두산 베어스전, 역대 35번째)
팀 통산 최초 사이클링 히트2016년 4월 18일넥센 히어로스전 역대 19번째
최영필KBO 최고령 세이브, 통산 1,000이닝2016년세이브(4월 9일, KT 위즈전, 41세 10개월 27일), 1,000이닝(5월 29일, NC 다이노스전, 역대 76번째)
양현종KBO 최초 정규시즌 MVP, 한국시리즈 MVP, 최동원상 동시 석권, 팀 역사상 세 번째 토종 선발 20승2017년
헥터선발 20승 듀오, 팀 역사상 최초 20승 외국인 선수2017년KBO 역사상 두 번째(1985년 김시진, 김일륭 듀오 이래) 선발 20승 듀오(양현종, 헥터), 모두 선발(역대 4번째 외국인 선발 20승)
버나디나팀 역사상 최초 외국인 선수 20-20클럽 가입, 사이클링 히트2017년사이클링 히트는 8월 3일, KT 위즈전
김도영KBO 최초 월간 10-10 클럽 가입, KBO 단일 시즌 최다 득점 기록 경신2024년143득점


12. 1. 팀 기록


팀 통산 카테고리별 사항타격 분야 (1982년 - 2023년, 업데이트 필요)
투수 분야 (1982년 - 2023년, 업데이트 필요)
수상 및 올스타 부문

12. 2. 개인 기록

13. 마스코트

KIA 타이거즈의 마스코트는 호걸이, 호연이, 호야, 하랑이다.

14. 타이거즈 클래식데이 (올드 유니폼 데이)

KIA 타이거즈는 과거 해태 타이거즈 시절의 영광을 기념하고 팬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타이거즈 클래식데이' (올드 유니폼 데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행사에서는 선수들이 과거 해태 타이거즈 시절의 유니폼을 입고 경기에 출전한다.

역대 타이거즈 클래식데이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상대팀경기 일자
2011년삼성 라이온즈7월 26일 [19]
2013년삼성 라이온즈8월 10일
2020년삼성 라이온즈6월 20일 ~ 6월 21일
2021년삼성 라이온즈4월
2022년한화 이글스5월 6일 ~ 5월 8일


15. 신인 1차 지명 지역 연고

지역학교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2000년 김성한 감독 시절 해태 타이거즈쌍방울 레이더스에 9년간 내주었던 전북 연고지 및 1차 지명권을 다시 되찾았다.[1]

16. 응원단

KIA 타이거즈의 응원단은 다음과 같다.[1]

구분이름
아나운서김영호
응원단장서한국
치어리더정가예, 이다혜, 김한나, 유세빈, 이주은, 염세빈, 박신비, 천소윤, 유세리



특히, 이다혜 치어리더는 KIA 타이거즈 응원단의 간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

참조

[1] 뉴스 (KS Game 7) Na Ji-Wan 'goodbye home run'…KIA, realize tenth title great ambition https://archive.toda[...]
[2] 웹사이트 Foreign Players in KBO — A History Lesson https://notanotherba[...] 2014-08-23
[3] 뉴스 'V10' 타이거즈, 12년 미뤄뒀던 '신화'를 쓰다...KIA 우승 의미 http://joynews.inews[...]
[4] 뉴스 Why Matt Williams left the A’s to manage a team in Korea: Former San Francisco Giants star and A’s coach is managing the Kia Tigers of the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mercuryn[...] The Mercury News 2020-05-11
[5] 문서 현대 그룹과의 분리
[6] 문서 KIA 영문 표기 및 기아 한글 표기
[7] 문서 전·후기
[8] 뉴스 해태 타이거즈 기아에 팔린다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9] 뉴스인용 [외야석] 'KIA'로 써주세요 https://news.joins.c[...] 일간스포츠 2001-08-08
[10] 뉴스 지금 광주는 '기아 타이거즈 열풍' https://sports.news.[...] 동아일보
[11] 뉴스인용 BUY KOREA컵 K-리그 부천 번개 2골 5연승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9-07-01
[12] 뉴스인용 수원'골 폭죽'선두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9-07-08
[13] 뉴스인용 BUY KOREA 컵 K-리그 수원 토종축구 매운맛 과시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9-08-26
[14] 문서 삼성 라이온즈 8회 우승
[15] 뉴스 오늘 결전의 날 '롯기 돌풍' 해피 엔딩?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16] 뉴스인용 20승 달성한 니퍼트, 박철순과 이상훈 기록 넘었다 https://sports.news.[...] 노컷뉴스 2016-09-13
[17] 뉴스인용 이제는 기록…니퍼트, 리오스 넘어 MVP 향한다 https://sports.news.[...] MK스포츠 2016-09-27
[18] 뉴스인용 <프로야구> 이강철,9년 연속 10승 돌파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7-09-12
[19] 뉴스 첫 '빨강+검정' 타이거즈 올드 유니폼 착용 http://news.chosun.c[...] 스포츠조선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